소득 구간 확인

왜 “건강보험료”가 소득 판정 지표일까?

  • 정부가 현금·쿠폰형 지원금을 설계할 때 가장 넓게 깔린 행정 데이터가 월별 건강보험료이기 때문입니다.
  • 2025년에도 보험료율이 7.09 %로 동결되면서 ‘보험료 = 보수(또는 종합소득)×요율’ 구조가 유지돼 소득 분위(10 분위) 산정이 쉽다는 점이 그대로 적용됩니다.

TIP : 앞으로 발표될 ‘민생회복 소비쿠폰’·각종 복지급여 역시 월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대상·금액을 나눌 공산이 큽니다.

내 월 보험료(PDF) 3분 만에 꺼내는 3가지 길

경로주요 단계특징·참고
① 정부24 앱/웹① 로그인 → ② 민원 >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→ ③ 발급용도·기간 선택 후 ‘발급’모바일 전자지갑에 바로 저장 가능
② NHIS 사이버민원센터(PC)① 홈페이지 로그인 → ② 민원신청 > 보험료 납부확인서 → ③ 연·월·용도 지정 후 ‘프린트 발급’공동·간편인증 필요, 세부 보험 선택 단계 有
③ M건강보험 앱메뉴 ▶ 증명서 발급 > 납부확인서휴대폰 인증 → PDF 저장·공유

오프라인 : 주민센터 무인 민원발급기·공단 지사 창구에서도 즉시 출력 가능.

✅정부24앱 바로 다운로드 하기

✅국민건강보험공단✅

고지서에서 딱 두 줄만 본다

  1. ‘보험료 본인부담금’ (직장) 또는 ‘납부보험료’(지역) ― 월금액
  2. 고지년·월 ― 최근 1~2 개월분인지 확인
    직장 가입자는 회사 몫(50 %)을 빼고 ‘본인부담’만 비교합니다.

분위가 궁금하다면? 참고용 체크표 (직장가입자 기준)

월 보험료소득 분위(예상)해설
0 ~ 9.3 만 원하위 1–3기초생활·차상위 비중 ↑
9.4 ~ 13.8 만 원4–5중위소득 45–60 %
13.9 ~ 17.7 만 원6–760–80 %
17.8 ~ 24.0 만 원8–980–100 %
24.1 만 원↑상위 10 %100 % 초과

상단 숫자는 2025 년 중위소득·보험료율을 단순 환산한 예시입니다. 실제 ‘민생회복 소비쿠폰’ 컷라인은 국회 통과 후 고시될 공식 구간표를 다시 확인하세요!

✅정부24앱 바로 다운로드 하기

✅국민건강보험공단✅

헷갈리기 쉬운 4가지 포인트

체크설명
장기요양보험료 포함?구간 비교할 땐 빼고 본 건강보험료만 봅니다.
맞벌이 부부부부 각각 고지서를 확인해야 하며, 정부가 ‘개인별’ 또는 ‘가구합산’ 중 어느 방식을 채택할지는 추후 고시.
보험료 변동 시기직장인은 연말정산 정산분(매년 4–5월) 반영 뒤 금액이 달라집니다.
알림 설정정부24 ‘알림 ON’ & 국민비서 구삐 동의해 두면 구간표·신청 개시 PUSH를 바로 받습니다.

자가 체크리스트

순서해야 할 일완료
1정부24·NHIS에서 최근 고지서 PDF 내려받기
2표에서 월 보험료 위치 확인
3장기요양분 제외·맞벌이면 각자 계산
4‘민생회복 소비쿠폰’ 최종 구간표 발표 시 금액 대조
5조건 충족 → 정부24·보조금24 신청/알림 켜기

✅정부24앱 바로 다운로드 하기

✅국민건강보험공단✅

요약

  1. 고지서 PDF만 확보하면 소득 분위 80 % · 90 % 컷을 미리 가늠할 수 있다.
  2. 공식 구간표가 나올 때까지는 예상치로만 활용하고, 발표 후 다시 대조해야 한다.
  3. 고지서 발급은 정부24(모바일 OK)·NHIS 사이트·M건강보험 앱 3분이면 끝!

이렇게 준비해 두면 ‘민생회복 소비쿠폰’이든 다른 지원금이든 “나는 금액 얼마를 받을 수 있나?”를 남보다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