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건의 개요

원고는 임차인, 피고는 임대인입니다. 원고는 2018. 8. 24. 피고로부터 이 사건 상가를 임차하였고, 2021. 8. 24. 임대차계약이 종료되었습니다. 원고는 피고에게 임대차보증금 1억 원을 반환받지 못하였고, 피고에게 건물의 명도도 받지 못하였기 때문에, 피고를 상대로 임대차보증금반환 및 건물명도 청구 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.

원심판결

원심은, 피고가 원고에게 임대차보증금 1억 원을 반환할 의무가 있고, 원고가 피고에게 건물의 명도청구권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여, 원고의 청구를 인용하였습니다.

피고의 항소

피고는, 원심판결 중 건물명도청구 부분에 대하여 항소하였습니다. 피고는, 원고가 임대차계약 종료 후에도 계속하여 이 사건 상가에 영업을 하고 있으므로, 원고는 피고에게 건물명도의무가 없다고 주장하였습니다.

서울동부지방법원의 판단

서울동부지방법원은, 피고의 항소를 기각하고, 원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습니다.

판결의 요지

  • 임대차계약이 종료된 후에도 임차인이 목적물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,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건물명도의무를 부담합니다.
  • 임차인이 임대차계약 종료 후에도 목적물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,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임대차보증금반환채권과 동시이행의 관계에 있는 건물명도의무를 부담합니다.

판결의 의의

이 판결은 임대차계약 종료 후에도 임차인이 목적물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, 임차인의 건물명도의무를 인정한 판결로 평가됩니다. 이 판결은 임대차계약의 종료와 함께 임차인의 점유는 불법점유로 전환되는 것이 원칙이지만, 임차인의 임대차보증금반환채권과 동시이행의 관계에 있는 건물명도의무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임차인의 점유가 불법점유로 전환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습니다.

이 판결은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하고, 임대차관계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됩니다.

판결의 구체적인 의미

이 판결은 임대차계약 종료 후에도 임차인이 목적물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, 임차인의 건물명도의무를 인정하는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습니다.

  • 임대차계약이 종료된 후에도 임차인이 목적물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,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건물명도의무를 부담합니다.
  • 임차인이 임대차계약 종료 후에도 목적물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,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임대차보증금반환채권과 동시이행의 관계에 있는 건물명도의무를 부담합니다.

이 판결에 따라, 임대차계약이 종료된 후에도 임차인이 목적물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,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건물명도의무를 부담하게 됩니다. 따라서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임대차보증금을 반환받기 위해서는 임대인에게 건물을 명도하여야 합니다.

이 판결의 경우, 원고는 임대차계약 종료 후에도 계속하여 이 사건 상가에서 영업을 하고 있었습니다. 따라서 원고는 피고에게 건물명도의무를 부담하였습니다.

한편, 이 판결은 임대차보증금반환채권과 동시이행의 관계에 있는 건물명도의무를 인정함으로써, 임차인의 임대차보증금반환청구권을 실효시키지 않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